수시러(교과)보다 정시러가 더 우수한 인재인가? (feat.학점을 중심으로)
게시글 주소: https://susi.orbi.kr/00042848539
안녕하세요 오르비 여러분들!
'한국 중등교육과 대학교육의 위기' 라는 주제로 과제를 하고 있다가 자료를 조사하던 중에
중등교육하면 저에게 많은 추억이 있는 오르비가 생각나 오랜만에 접속해보았습니다.
10년전이나 지금이나 오르비는 비슷하거나 같은 주제로 항상 담론이 진행되는 것 같은데요.
그 중에서 현재 추천글에 도배가 되어 있는 수시vs정시의 논쟁이 화두인 것 같으므로 이 주제는 교육학을 공부하면서 흥미로운 주제이기에 관련 논문을 찾아보았습니다.
우선 우수한 인재를 평가함에 있어서 다양한 기준이 있겠지만 오르비에서 논의되고 있는 '우수함'이라는 기준은 정량적 평가, 다시 말해 학점을 중심으로 평가하는 것이 대학수학능력의 취지에 맞다고 공통될 수 있으므로 입학전형 별 학업성취도를 중심으로 논문을 찾아보았습니다!
여러 가지 논문을 찾아보았는데 자료는 다르지만 그 내용은 대동소이한 경우가 많았으나 다만 그 결과가 상이하게 대립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자료들 중에서 충분한 표본과 조사기간이라고 생각되는 연구자료의 대표라고 생각되는 논문인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421718
남궁경현, 이승아; 정다운, 「대학입학전형별 학업성취도 분석 연구: K대학 2009∼2014학년도 입학생을 중심으로」, 입학전형연구,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15
을 살펴보면 학생부 교과전형의 입학자가 수능전형으로 들어온 학생보다 조금 더 GPA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조사에 등록된 표본이 오래된 자료가 아닌가 하시는 분들도 있을 것 같아 KCI에 등재된 최근 논문을 보면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Detail.laf?barcode=4010028537033
최정희, 이솔비, 「입학전형에 따른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학과만족도 종단연구 : D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마찬가지로 유의미한 차이라고는 볼 수 없으나 수시 교과전형의 평균 학점이 정시 수능전형의 평균 학점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혹여 위의 논문에서 사용된 표본의 대학이 오르비에서는 마음에 들지 않을 수 있으므로 서울대의 경우를 살펴보았는데요. 논문은 20년 가까이 된 자료거나 마땅한 자료가 없어서 국회의원이 서울대에 요청한 자료를 토대로 한 뉴스기사를 참고해보았습니다.
"서울대 졸업생 학점,입학 전형별 분석… 인문대 지역균형,공대 수시특기자 ‘선전’", <국민일보>, 2009.04.07,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05&aid=0000356641
"서울대生 입시 전형별 학점 들여다보니", <헤럴드경제>, 2015.09.13,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4&oid=016&aid=0000848894
"[단독]학종 입학생, 수능전형 출신보다 학점 높다", <동아일보>, 2018.05.10,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20&aid=0003145620
마지막 기사의 정시표본이 부족한 것 같아 아쉽지만 위의 두 기사와 결이 비슷하므로 지역균형(내신)의 입학자는 대학수학능력이 떨어질 것이다 라는 일반적 통념과는 상반된 결과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끝으로 이번 자료조사를 하면서 가장 흥미로웠던 논문인 교수님들이 인식하는 입학전형별 대학생활을 분석한 자료가 있는데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325529
이현우, 김효선, 「교수들이 인식하는 대입전형별 입학생의 학업, 대학생활적응, 진로준비행동의 차이에 대한 연구」, 취업진로연구, 취업진로학회, 2018
오르비에서 흔히 말하는 수시와 정시의 차이인
수시: 와.. 내가 이 대학을 오다니
정시: 와.. 내가 이 대학을 오다니
와 같은 내용이나 혹은 대학이 수시를 좋아할 수 밖에 없는 이유를 어림짐작 할 수 있는 논문인 것 같고 내용도 FGI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보니 가볍게 읽을 수 있어 한번씩 읽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3줄 요약
1. 수시 교과러가 정시러들의 생각보다 대학수학능력이 떨어지지 않는다.
2. 통계적으로 수시로 입학한 학생이 정시로 입학한 학생보다 대학만족도나 전공적합성 등이 높다.
3. 입시생들은 수시든 정시든 자신이 할 수 있는 최선의 방식으로 하루빨리 대학에 입학하여 수능판을 떠나 자신의 인생을 개척하는 것이 인생을 낭비하지 않는 것이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초6때 키가 성인키라해도 특이하지않음 보통 중2전에 다커요 여자는 중2 평균이랑...
-
아공부하기실타 3
-
기분굿 ㅎㅎ
-
기분좋네요
-
은테달고싶어요 5
-
이 나이 먹도록 오르비를 하게 될 줄은...
-
레어 이름을 몰라서 다시 못 갖고 오는 중임 ㅋㅋ
-
님들도 n수생이되면됨 어딜 조기졸업을 하려고 어허 고등학교는 원래 4년제에요~~
-
훗
-
진짜 이해못한 허수들 5번으로 시간 뺐고 함정 걸리게하고 6번으로 비판적 창의적사고...
-
이거 단순히 몇 년 지난다고 해서 끝날 문제가 전혀 아님. 요즘 인터넷 ㅈㄴ...
-
일론머스크 딱 대
-
본인이 n수다.댓글 ㄱ 13
N은 3이상이다. N=2인 애기들은 나가라. 내 주변에눈 삼수이상이 없어서…삼수이상인 사람 댓글좀
-
괜찮음?
-
기해분 2권 n제 4권 모고 20회분ㄷㄷㄷ
-
7년걸렷는데 나름 선방한거냐
-
역대 n수생 최다 이말은 매년 나오는거 같은데 아닌가 ㅋㅋ
-
아
-
수능판 떴는지 너무 오래되어서 모르는게 많아 여쭙고자합니다 1. 서울 명문대 기준...
-
건동홍 라인은 아주 가끔 보이던데
-
맞팔하실분? 10
닉네임을 이따구로 설정했지만 의외로 잡담 태그 잘달고 성실해요 :)
-
많은 분들께서 제 글을 재미있게 읽어주시고 제가 글을 잘 쓴다고 여러분 뿐만 아니라...
-
탈퇴뿐임?
-
21살 때 97키로였음 허언 아님
-
바람 칼같네 15
잠깐 담배피러 나왔는데
-
영어 고1모고 3뜨는 노베인데요 조정식 괜찮아부터 차근차근 하면 수능까진 1 받을...
-
체력조졌네 2
15분 뛰고도 죽을거같네
-
시정곤(2006), "사이버 언어의 조어법 연구"인데 40대 인터넷 말투는 지금도 똑같은 듯
-
아주머니들 이야기 하시는거 들리는데 이번수능 물수능이라고 막 이야기하시던데 ㅋㅋ 아...
-
ㅅㅂㅅㅂㅅㅂㅅㅂ 농어촌 통계학과 친구들아 더 좋은곳으로 가줘
-
코가 커진다는게 사실인가요
-
틀리는 느낌도 없이 조용히 비가 내림 공통보다 확통이 더 싫음;;;
-
가즈아
-
괜찮겠죠? 하 합격 취소해버리면 어떡하죠
-
무지무지 2
나를 단무지라 불러다오
-
왜 정적분 구간을 1부터 x로 주었을까 1이 다른 상수로 바뀌어도 전혀 문제가...
-
한명이라도 좋으니까 빠질꺼라고 말해줘 제발제발
-
ㅇㅇ
-
짝수해이긴해도...ㅜㅜ
-
동대 경영 0
동대 경영 예비 12번인데 합격 될 까요 작년에는 20명 정도 돈 것 같은데 쪼끔 불안하네요
-
시대 전장 ㅇㅈ 4
ㄷㄷㄷ
-
와 너무 춥다 0
어제부터 요번주는 좀 많이 춥네
-
내가 그렇게 풀었거든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통학, 기숙사 그리고 자취의 각 장단점]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과기대생,...
-
동국대 문과랑 숭실대 자유전공(공대) 고민중인데 그냥 공대가 답이겠져..?
-
이 지문이 작품에서 되게 중요한 부분을 들고 온 거구나 라는 느낌이가 생긴거 같음
-
추우니까 4
집 앞도 나가기 귀찮다
-
양심 뒤진 건가 진짜
-
겸양에 월선헌깔즤... 다음주제는 김패배에 게딱지 feat ebs강의에 대하여 ㄱㄱ..
막줄추
빨리..떠야하는데..ㅜ
잊으려해도 불현듯이 떠올라 미련을 가지게 만드는게 입시판이죠,, 그게 수능중독이고,, 미련을 버리는 것이 참 어려운 것이지만 하루빨리 대학에 들어가 새로운 인생을 개척하는 것이 인생을 낭비하지 않는 것이라 생각해요. 100세 인생이라 n년 정도는 투자할만한 것이라고 하지만, 물론 그 말이 맞지만 20대의 1년은 80대의 1년과 다르고 20대는 다시는 돌아오지 않기에 저는 아쉽더라도 입시판을 뜨는 용기가 굉장히 중요하다 생각해요.
성실함이 무기인듯
좋은 글이네요. 정시: 와.. 내가 이 대학을 오다니 로 비롯된 반수로 인해서 정시로 들어온 사람들의 학점 평균이 낮게 잡히지 않았을까라는 생각도 드네요. 흔히 적폐라고 부르는 경우는 실력이 모자른 사람이 들어가게 되는 경우를 말하는 거 같은데 각 전형 별 학점 분포를 보고 낮은 학점을 받은 사람이 얼마나 있는지 보는 것이 적폐인가를 판단하는데 더 좋은 기준이라는 생각도 드네요
그러한 기조가 마지막 논문에서도 나오듯 교수님들도 정시입학자들의 반수 의지나 적성이 아닌 점수에 맞춰서 온 학생들의 수업참여도는 수시생보다는 부족한 것 같다고 하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시생들이 시험과 관련한 성적면에서는 수시생보다 더 나은 경우가 있다고도 언급하고 있습니다. 표본이 신입생만 기준으로 하면 반수생들이 있어 정시러들의 평균점수가 낮게 측정될 확률이 높으므로 장기간의 기간으로 측정한 자료나 졸업학점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옳다고 판단해 그러한 표본조사가 성립된 논문을 중심으로 파악해보았습니다!
정시 3장에 거기에 군까지 만들어서 선택의 자유 폭을 확 줄이니..
대학학점이 걍 내신대비의 연장선임 이공계조차 이해보단 무지성암기가 효율적이라
근데 사실상 이공계 분야에서도 서울대나 과기원 아니면 학점 따는게 어렵지는 않다 보니.. 그냥 노력을 더 한걸로 보는게 맞을지도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