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m PPL 칼럼 11호] 나머지가 아니라서요. (수능 국어)
게시글 주소: https://susi.orbi.kr/00042900248
[궁무니 수능 국어 칼럼] 나머지가 아니라서요. (수능 국어)
안녕하세요. Team PPL의 국어팀 소속 궁무니입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낮은 등급대 학생들이 문제를 푸는 방법과 수능 국어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어떤 태도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지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국어 학원에서의 조교일과 국어 과외를 병행하면서, 학생들로부터 국어 문제 질문을 많이 받고 있습니다. 항상 저는 학생에게 물어봅니다. “이 답을 선택한 이유가 뭐야?” 그리고 대부분 이렇게 답합니다.
“나머지가 아니라서요.”
이 답변은 수능 국어를 공부하는데 있어서 가장 독이 되는 답변이라고 생각합니다. 수능 국어에서는 모든 선지마다 답의 근거를 지문 속에서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적어도 선지마다 답이 될 수 없는 이유에 대해 근거를 가지고 있지요. 하지만 이렇게 단지 ‘나머지가 아니라서 이것이 정답이다’라고 답을 도출해내는 것은 문제를 제대로 푼 것도, 공부를 하는 것도 아닙니다.
수능 국어는 객관적으로 봐도 답의 근거가 명확하도록 문제를 출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객관적인 근거를 찾아서 답을 도출해내는 것이 수능 국어의 핵심인 것이죠. 단순히 기출을 반복한다고 해서 성적이 늘지 않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객관적인 답의 근거를 찾을 수 있는가. 수능 국어에서 수험생에게 묻는 것은 바로 이겁니다.
그렇다면 답의 근거를 찾는 태도는 어떻게 기르는 것일까요? 단순합니다. 평소에 문제를 풀면서 답의 근거를 적어두면 됩니다. 마치 스스로 해설을 쓰는 것처럼요. 아래 지문을 예시로 들어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지문은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에서 출제된 PCR 지문입니다. 단순히 지문을 읽고 글을 이해하기에는 다소 난해했던 지문이었습니다. 하지만 답의 근거를 지문 속에서 찾을 수 있었다면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없었을 겁니다. 아래는 해당 지문의 첫 번째 문제입니다.
상위권의 학생들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수험생들은 지문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문제 풀이로 넘어옵니다. 그리고 첫 문제부터 난항을 겪죠. 선지도 제대로 이해가 되질 않는 겁니다. 그래서 자신이 조금이나마 이해한 지문의 내용을 근거로 문제를 풀게 됩니다.
하지만 답의 근거를 지문 속에서 찾는 태도를 가지고 있다면, 더욱 정확하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지요. 해당 문제를 통해 지문 속에서 답의 근거를 찾는 훈련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번 선지 “2종의 프라이머 각각의 염기 서열과 정확히 일치하는 염기 서열을 주형 DNA에서 찾을 수 없다.”에 해당하는 답의 근거를 지문에서 찾아보겠습니다.
1문단을 보면, “주형 DNA에서 증폭하고자 하는 부위를 표적 DNA라 한다.”, “프라이머는 표적 DNA의 일부분과 동일한 염기 서열로 이루어진 짧은 단일 가닥 DNA”라는 정보가 나와 있습니다. 그렇다면 두 문장을 근거로, 프라이머 각각의 염기 서열과 정확히 일치하는 염기 서열을 표적 DNA에서 찾을 수 있고, 표적 DNA는 주형 DNA에서 나온 것임으로 주형 DNA에서 찾을 수 있다는 정답의 논리가 완성됩니다.
이렇게 수능은 지문 속의 정보를 토대로 답을 유추하는 것입니다. 사실 답의 근거가 지문 속에 있다라는 핵심은, 국어 공부를 하는 수험생이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정보입니다. 하지만 답의 근거를 찾지 않고 오로지 자신이 읽었던 글의 기억으로만 문제를 해결하려는 학생들이 꽤나 많습니다. 공부를 열심히 하더라도 성적이 오르지 않는 경우에도 주로 답의 근거를 찾는 훈련이 되어있지 않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지금부터라도 답의 근거를 찾는 훈련을 우선시 하면서 수능 국어 문제를 풀어보는 태도를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상 PPL 국어팀 궁무니였습니다. 다가오는 2023학년도 대수능에서의 여러분의 국어 건승을 기원하겠습니다.
칼럼 제작 | Team PPL 국어 X 궁무니팀
제작 일자 | 2022.01.10
Team PPL Insatagram | @ppl_premium
*문의 : 오르비 혹은 인스타그램 DM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좋아요 1 답글 달기 신고
-
좋아요 0 답글 달기 신고
-
수학-3시간 함 국어-하기싫음 이미 주간지 풀엇음 영어-하기싫음 지구-하기싫음...
-
물개물개 =물개^2
-
딱 낫배드정도인가요
-
인접3항간 선형 점화식
-
커담 9
했는데 키스할사람
-
윤석열
-
국어나 탐구같은거 지금 풀어야댐?
-
탄젠트
-
오늘의노래추천 6
요루시카 - Make-up Shadow 나부나 - 메류 아도 - RuLe 스리이 -...
-
사람맞습니다감사합니다
-
빠르네
-
스펙평가좀 10
163 120 18
-
안녕하세요. 긴 수험생활을 이제 마친 대학생입니다 아마 지금 쯤부터 n수에 대해...
-
인생이고달프다 1
뭐하나내세울게없는인생에휴
-
스펙 평가 좀 4
현역임 졸림
-
안에 상황을 모르는데 전혀 아무 소리가 안들림 사람은 다 있는데
-
뱃지 왜 안오지 2
은근 신경쓰이네
-
정답은 6
07년생군필여고생이었습니다수고하세요
-
3년 개근상 받음요 13
하하
-
몇장 줄라나 넣어만 봐도되나 등록안하면 반수반 못들어가거나 이런 패널티 없겠지?
-
빌리기는 죽어도 싫음 노래 들어야돼
-
오늘 찍은 사진들 20
부산 태종대에요 오랜만에 바다보니까 기분좋네요
-
나같은케이스 매우 드물듯
-
무휴학논술반수 할려 그러는데 여름방학때까지만 알바 병행하면서 해도 괜찮을까요?...
-
쌩으로 한번 더 vs 반수반 뭐 할거임
-
헤치웠나 0
-
넌 서울대 가라
-
어쩌다 수능판에 다시 뛰어들게 된 00년생인데요 과탐(특히 생1)에 수능때마다...
-
수시로 들어간 친구고, 수능 성적은 명지대 문사철 정도 ㅇㅇ 그렇다보니 눈은...
-
에휴이옯찐따여서미안해
-
19년째 안드로이드 유저라 울었어
-
제무물보 20
제발 무엇이든 물어봐주세요
-
https://m.sdijbooks.com/detail/ser/default.asp?...
-
갑자기생각나서궁금해짐
-
해주라
-
친구들은 아깝다고 대학급간 조금만더 올리는게 낫다하고 고민이 되는군요
-
작년에 16번,재작년에 19번까지 빠짐 앵간하면 붙을거같은데 몇차때 빠질까
-
난 이미 긁은 복권인데 넌 아직 안긁었잖아 난 꽝이야
-
아사람들 왜 질문과 관계 없는 댓글 다는 데 열중하나요 10
아사람들은 지금 수학노베를 뭘로 보는건가요
-
탈릅해야지
-
누가 더 유리할거같아요?
-
밥도잘먹지못해니가생각날까봐니생각에체할까봐니가떠난후로오늘도눈물로하루를먹고살아버스도타지못...
-
그렇지않아도 200 따리 지옥불 인생 이제 도감청 걱정까지 해야한다며 의원면직 +...
-
어피니티 정체 알아냄
-
이별의 아픔을 5
느낄 날이 올까
-
수학커리추천좀 0
현우진만 듣고 엔제 박치기 했었는데 백분위 기준 6모 97(84점) 9모...
-
26년 입시 0
수시 성적이 입결찾아보니 한곳은 평균과 최저 사이이고 한곳은 평균 성적인데 26년...
-
엄청 치열하겠죠....?ㅜㅜ
-
심심하네 11
(1,0)이 아닌 원과 x축의 교점을 P라 하자,그럼 할선정리에 의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