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 변압기 질문좀 할게요..
게시글 주소: https://susi.orbi.kr/0004927170
![](https://s3.orbi.kr/data/file/united/1930759776_45ij3dou_1412519374548.jpg)
2차코일에서 전압이 3배가 되는거까진 이해하는데 그이후에 전력공식을 사용하면 2차코일에 흐르는 전류도 1차코일전류의 1/3배가 되어야할거같은데 해설에서는 옴의법칙을 사용하는지 전류가 3배로 된다고 나오더라구요.
게다가 ㄷ보기해설은 전류3배 전압3배이기때문에 전력이 9배가 된다고 하는데 제가 알고 있기론ㅈ전력량은 보존이 되어 전압을 어떻게 바꾸더라도 2차코일에서 흐르는 전력의 변화는 생기지 않는걸로 알고있는데...
2차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계산시 왜 옴의법칙을 사용하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p.s. ㄱ보기는 ㄴㄷ보기 둘다 아닌거 같아서 어거지로 썼던거에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원준견들 집합ㄱ 0
Rnp부터해?
-
강아지 사진 2만장 있음 (대략 200GB)
-
막차끊기면 개굿 ㅇ
-
학교 다닐 때 받은 장학금만큼 빼서 연봉 준다는데 진짜임?
-
진짜 타고난건가 ㄷㄷ
-
흠냐
-
인하대 수강신청 0
인하대 수강 신청 날짜인데요. 신입생은 20일에 하면 되는 건가요? 설마 12일은...
-
먼가 생산적인 일을 해보고싶은
-
ㅇㅇ 보통 8시 9시 이런대학은 전날 조발함
-
자동차 빵빵 거리면서 너 빨리 가라고
-
세종대 공과대학 vs 과기대 환경공학과 어디 갈까요? 학교만 보면 무조건 과기대인데...
-
학원은 처음이라 어디가 좋을지 모르겠네요
-
챗지피티는 학술지같은거 읽어보라는데 아는 단어보다 모르는 단어가 더 많을거같음
-
의대가고싶어졌어요
-
무조건 1교시 강의를 잡아라 보통 대학생들은 늦잠자려고 1교시를 기피하지만 우리는...
-
얼버기 12
아님.
-
한번 써볼까했는데
-
추합도는 순서 0
추합은 가<나<다 순으로 많이 돌죠? 기균이라도요
-
이메타는 참전포기함
-
그 12번인가 추론선지는 눈알굴리기로 안되지않음? 사실 이해해도 힘들거같긴함
-
아씨발 1
모의고사 리뷰 한글에 쓰다가 안드로이드 한글 뻗어서 30분전으로 도르마무됨...
-
술 약속 。◕‿◕。
-
선지판별이 핵심임 애초에 완전한 이해를 전제하고 내는게 아님 쟁점잡고 논리적 구조파악을 해야죠
-
언미물지 9모 31242 (91 96 84 42 42) 수능 21213 (84 88...
-
[고려대학교 25학번 합격]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25 단톡방을 소개합니다. 0
고려대 25학번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클루x노크 오픈채팅방을 소개합니다. 24학번...
-
전국에 10장 있음.
-
알바 고민 0
목금토일 주4일 고깃집 홀서빙 알바하고 있고 시급은 12000원 받아요 가게 규모가...
-
수학 기출 5
수분감이랑 기출생각집 둘 다 하는건 별로죠? 보통 기출은 1권씩만 하나요?
-
궁금쓰 연상인지 연하인지
-
없는디…
-
다른 투과목에 비해서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연세독수리
-
흠흡
-
6모때 올1 받으면 최애가 사귀어 준다고 약속했다 생각하고 공부시작 ㅇㅇ
-
25수능 확통 15 20 21 22 24 27 30 틀렸는데요. 24 30은 실수로...
-
일반적으로 고3 영어 교육청과 평가원의 난도 차이는 평가원이 높은 편인가요, 아니면...
-
수학 N제 0
보통 몇 권씩 품?
-
제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그냥 국어 최상위권 학생들마다 푸는 방법이 달라서...
-
알아냈다 3
ㅅㅅ
-
존나 시려워
-
중앙대학교 도시시스템공학과 25학번 신입생을 찾습니다! 0
?️중앙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도시시스템공학과 25학번 신입생 단톡방 공지?️...
-
다들 어디갓서
-
추가합격 0
경쟁률이 전보다 낮으면 추가합격할 번호도 낮아지나요 ..ㅠ
-
식도에서 비명지르겠지... 앉아잇기힘들다.. 알바하고와서 5시간밖에못잤는데 밥먹고...
-
같이즐거운둠피스트해요
-
이친구문제를잘깎아야겠네
목운동 죄송합니다 ㅠㅠ
가와 나의 전력량이 같을 이유는 없죠. 문제에 나와있듯 V와 f가 같을 뿐이고, I와 P는 2차코일쪽 회로를 통해 계산 해서 역으로 구해야 하는 겁니다. 옴의 법칙은 절대적이에요 같은 저항의 전구에 전압이 3배면 전류는 당연히 3배입니다. 그럼 V와 I의 곱은 9배이니 이제야 (나)에서 소모된 전력량이 9P라는 걸 알 수 있는 거에요.
전력량이 손실되지 않는다는 건 한 (가)와 (나)의 소모전력이 같다는 얘기가 아니라, (가)안에서 왼쪽과 오른쪽의 P가 같고 (나)엔에서 왼쪽과 오른쪽의 P가 같은 거죠(가)의 9배, 즉 9P
부가설명을 드리면 (나)의 1차코일쪽에 흐르는 전류는 9I이고 2차코일은 3I입니다. 님말씀처럼 삼분의일이 되었죠 전력은 보존됐습니다!
근데 궁금한게 있는데
변압기 하나만 생각했을때 1차와 2차 코일에 감은 수 비를 1:2라 하면 전압도 당연히 1:2가 되고 그러면 자연스레 전류비는 2:1이 되는데 옴의 법칙을 적용하면 저항은 같은데 전압이 2배가 됐으므로 전류도 2배가 되면서 아까 결과와 모순이 되는데. 대체 제 생각의 오류가 뭔가요 ㅠㅠ?
그 생각은 공급해주는 전력이 일정할 때 성립합니다. 여기선 일정하다는 말이 없죠.
전압이 1대2, 전류가 2대 1이라면 저항은 1대 4가 됩니다 저항이 같다고 가정하신게 잘못되었어요~ 그러니까, 전력이 일정한 변압기에서 1차코일과 2차코일의 감은 수 비를 1:2에서 1:4로 늘려줄 경우에, 2차코일쪽 전압은 두배가 되는데 전류는 절반이 되죠. 이런 경우 때문에 멘붕이 오신 듯한데, 이건 그냥 저항이 4배로 변해버리는 겁니다! 그럼 옴의법칙과 전력보존 모두 전혀 모순이 없어요. 주로 2차코일쪽 저항이 가변저항인데 고정저항으로 착각해서 사람을 헷갈리게 하는 경우가 있는 것 같더라고요!
2분 답변 감사합니다!
모두 답변감사합니다!! 덕분에 개념 제대로 잡고 가네요
이부분은처음부터설명제대로 되있는곳이 거의없는듯하네요 ㅜㅜ